카테고리 없음

2025년 국민연금 수령 나이 총 정리|출생연도별 수령 시기표 포함

goodrife01 2025. 11. 9. 20:09

 


50대 이상이라면 가장 많이 검색하는 주제 중 하나가 바로 국민연금 수령 나이입니다.
2025년부터는 출생연도에 따라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가 달라지고,
조기 수령이나 연기 수령 제도도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.

이 글에서는 **국민연금공단 공식 자료(2025년 기준)**를 바탕으로
노령연금의 종류, 수령 나이, 감액·연기 제도까지 정리했습니다.


✅ 국민연금 노령연금이란?

국민연금 가입자가 나이가 들어 소득활동이 어려워졌을 때
생활안정과 복지를 위해 매달 지급되는 급여입니다.

  • 가입기간(보험료 납부기간)이 10년 이상이어야 함
  • 출생연도별 지급개시 연령 이후부터 평생 지급
  • 기본연금액 + 부양가족연금액으로 구성

📅 출생연도별 연금 수령 나이표 (2025년 기준)

출생연도노령연금 수령 나이조기노령연금 가능 나이비고
1953~1956년생 만 61세 만 56세 이미 수령 가능
1957~1960년생 만 62세 만 57세 2025년 현재 주요 대상
1961~1964년생 만 63세 만 58세 2024~2027년 수령
1965~1968년생 만 64세 만 59세 2029년 이후
1969년 이후 출생 만 65세 만 60세 2034년 이후 수령

📌 즉, 1969년 이후 출생자는 65세부터 연금 수령 가능,
조기노령연금은 60세부터 신청 가능합니다.


💰 소득이 있는 경우 ‘감액 제도’ 적용

연금을 받으면서 근로·사업 등 소득이 있을 경우,
월평균소득이 일정 기준(A값)을 초과하면 연금이 감액됩니다.

  • 기준 A값(2025년): 3,089,062원
  • 감액 기간: 지급개시 연령부터 5년간
  • 감액 한도: 연금액의 절반(1/2)
초과소득 구간월 감액금액비고
100만 원 미만 초과분의 5% (약 5만 원 수준)  
100~200만 원 미만 5만 원 + 초과분의 10%  
200~300만 원 미만 15만 원 + 초과분의 15%  
300~400만 원 미만 30만 원 + 초과분의 20%  
400만 원 이상 50만 원 + 초과분의 25% 최대 감액 50%

소득활동을 중단하면 감액이 해제되고,
부양가족연금액도 다시 지급됩니다.


⏳ 연금 ‘연기제도’ (늦게 받을수록 더 받는 제도)

연금을 최대 5년까지 연기하면
매 1년마다 7.2%(월 0.6%)씩 연금액이 증가합니다.

연기 기간증가율예시 (기본연금 100만 원 기준)
1년 +7.2% 107만 원
3년 +21.6% 121만 원
5년 +36% 136만 원

👉 즉, 65세 수령을 70세로 미루면
월 36%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
🕐 조기노령연금 (앞당겨 받는 제도)

소득이 없고,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면
정상 수령 나이보다 최대 5년 일찍(조기) 받을 수 있습니다.

단, 일찍 받을수록 감액됩니다.

조기 청구 나이지급률 (기본연금액 대비)
정상보다 5년 빠름 70%
4년 빠름 76%
3년 빠름 82%
2년 빠름 88%
1년 빠름 94%

📌 예: 1966년생은 만 59세(조기 가능 나이)에 청구 시
→ 기본연금액의 70%만 지급.
이후 소득이 생기면 지급이 정지됩니다.


⚙️ 꼭 알아둘 신고 의무

  • 연금 수령 중 근로·사업소득이 생기거나 중단될 경우
    반드시 국민연금공단에 신고해야 합니다.
  • 신고하지 않으면 과지급 또는 환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.
  • 기준 A값은 매년 변경되며,
    2025년 기준은 3,089,062원입니다.

🧭 요약 정리

항목내용
최소 가입기간 10년 이상
정상 수령 나이 1953년생 61세 → 1969년생 이후 65세
조기 수령 나이 정상보다 5년 빠름 (최대 30% 감액)
연기 수령 최대 5년 연기, 연 7.2% 가산
감액 기준 월소득 308만 원 초과 시 감액 (최대 1/2)
신고 의무 소득 변화 시 공단 신고 필수

💬 마무리하며

국민연금은 단순히 “언제부터 받느냐”보다
얼마나 오래,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느냐”가 더 중요합니다.

2025년 이후에는 연금 수령 나이 65세 체계가 완성되기 때문에,
50대라면 지금부터 자신의 출생연도별 수령 시기
조기·연기 전략을 함께 점검해두는 것이 좋습니다.

👉 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 www.nps.or.kr
에서 나의 예상연금액을 직접 확인해보세요.